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산불로 집이나 농작물, 생활터전이 불에 탔다면 국가와 지자체가 도와드립니다.
    2025년에도 산불 피해를 입은 분들을 위한 긴급 지원제도가 운영 중이에요.
    어르신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하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어떤 피해를 입으면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집(주택)이 불에 탐
    • 가재도구나 가전제품 소실
    • 농작물, 과수, 축산시설 피해
    • 상가, 공장 등 일터 소실
    • 거주지 상실 (대피 중)
    • 인명 피해 (사망, 부상)

     

    💰 어떤 지원이 있나요?

     

    🏠 1. 주택 피해 지원

     

    • 전파: 최대 1,600만 원
    • 반파: 최대 800만 원
    • 일부 피해: 100~200만 원 내외

     

    🧳 2. 임시 거처 지원

     

    임대주택 제공 또는 숙박비 지원 (1일 5~7만 원)

     

    🍚 3. 생계비 및 생필품 지원

     

    긴급복지 생계비 (4인 기준 월 약 150만 원), 식사/의류 제공

     

    🧑‍🌾 4. 농어업 피해 보상

     

    농지, 하우스, 가축시설 피해 시 복구비 일부 지원 + 대출

     

    💼 5. 사업장 피해 지원

     

    상가, 공장 피해 시 복구비 및 임시영업자금 지원

     

    🏦 6. 재해복구 특별지원 대출

     

    농협, 수협, 새마을금고 등에서 저금리 대출 가능 (연 1~2%)

     

    🧓 어르신도 쉽게 신청하는 법

     

    1️⃣ 주민센터로 전화하세요

     

    가장 쉬운 방법! 가까운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연락하세요.

     

    2️⃣ 마을 이장님이나 통장님께 말하세요

     

    몸이 불편하신 경우, 마을 분께 말씀만 해도 공무원이 도와드립니다.

     

    3️⃣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

     

    24시간 전화 가능. "산불 피해로 도움 받고 싶다"고 말씀하세요.

     

    📅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나요?

     

    • 원칙: 피해일로부터 14일 이내
    • 하지만 몸이 불편하면 조금 늦게도 접수 가능해요
    • 되도록 빨리 신청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꼭 기억하세요!

     

    구분 내용
    지원 대상 산불로 피해 입은 모든 국민
    지원 항목 주택, 생계비, 주거, 농업, 사업장 등
    신청처 주민센터, 129, 읍·면사무소, 마을 이장
    신청 기한 보통 14일 이내
    비용 부담 무료 또는 정부지원

     

    🧡 마무리 한마디

     

    산불은 막기 힘든 자연재해입니다.
    그래서 국가가 도와주는 건 당연한 권리입니다.
    지금 당장 주민센터나 129번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