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영구임대 외 주거복지 제도 총정리전세임대 · 매입임대 · 행복주택 · 국민임대 비교

     

     

    📌 주요 공공임대주택 제도 한눈에 보기

     

    구분 대상 임대 기간 임대료 특징
    영구임대주택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최장 50년 (거의 평생) 시세의 30% 이하 가장 저렴, 대상과 소득 요건 매우 엄격
    전세임대주택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기초수급자 등 최초 2년, 최대 20년까지 연장 보증금 전액 지원 + 본인 일부 부담 입주자가 전세계약 후 LH가 보증금 대납
    매입임대주택 무주택 저소득층, 청년, 장애인 등 최초 2년, 최대 20년 시세의 30~50% LH가 매입한 기존 주택을 저렴하게 임대
    국민임대주택 무주택 서민 (소득·자산 요건 충족자) 최초 2년, 최장 30년 시세의 60~80% 가장 공급규모 큼, 전국 신청 가능
    행복주택 청년,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고령자 최초 2년, 최대 6~20년 시세의 60~80% 역세권 등 교통 편리 지역에 공급

     

    🏠 제도별 간단 정리

     

    🔸 영구임대주택

    • 장점: 가장 저렴, 오랜 거주 가능
    • 단점: 입주 경쟁 치열, 대기기간 길고 대상 한정

     

    🔸 전세임대주택

    • 장점: 시세 대비 큰 혜택, 민간 전세 활용 가능
    • 단점: 원하는 집 구하기 어려움, 갱신 계약 필요

     

    🔸 매입임대주택

    • 장점: 기존 주택 활용으로 지역 다양
    • 단점: 주택 상태와 환경이 제각각

     

    🔸 국민임대주택

    • 장점: 무주택 서민 대상, 공급 규모 큼
    • 단점: 자산·소득 제한 엄격, 경쟁률 높음

     

    🔸 행복주택

    • 장점: 청년·신혼 대상, 교통 편리, 설계 신식
    • 단점: 단기 계약, 우선순위 따라 떨어질 수도

     

    📋 신청 방법 요약

     

    • 신청처: LH청약센터 (apply.lh.or.kr), SH공사, 지방자치단체
    • 공고 확인: ‘공공임대주택 모집공고’ 확인 필수
    • 자격 조건: 가구원수, 소득/자산 기준, 무주택 여부 확인
    • 우선순위: 기초수급자, 다자녀, 고령자, 한부모 등에 가점 부여

     

    ✔️ 영구임대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공임대주택이 존재합니다.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제도를 찾아 미리 신청 요건을 확인하고 준비하세요. 공고는 수시로 올라오니 LH, SH 홈페이지 자주 확인하는 것이 꿀팁입니다!

    반응형